Processing math: 100%

감마분포 정의 - 연속형

어떤 사건의 발생이 포아송분포(Poisson(λt))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어떤 사건이 r 번째로 발생할 때까지 소요되는 대기시간 X는 감마분포를 따르며 이의 확률밀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f(x)=λr(r1)!xr1eλx,x>0,λ>0
이때 E(X)=r/λ, Var(X)=r/λ^2이다.
r=1이면 감마분포는 지수분포가 되고, λ=1/2이면 χ^2분포가 된다.

적률생성함수

M(t)=E(etX)=(λλt)r,t<λ

'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개론]지수분포  (0) 2020.12.03
[통계학개론]포아송분포  (0) 2020.12.03
[통계학개론] 이항분포  (0) 2020.12.03
[통계학개론]베르누이분포  (2) 2020.12.02
Mann-Whitney U test  (0) 2020.07.05
Posted by 화공쟁이
,

지수분포 정의 - 연속형

어떤 사건의 발생이 포아송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어떤 사건이 첫 번째로 발생할 때까지 소요되는 대기시간 X는 지수분포를 따르며 이의 확률밀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f(x)=λeλx,x>0,λ>0
이때 E(X)=1/λ, Var(X)=1/λ^2이다.
지수분포를 따르는 r개의 독립적인 확률변수들의 합은 감마분포를 따른다.

적률생성함수

M(t)=E(etX)=0etxf(x)=0etxλeλx=0λe(λt)x=[λλte(λt)x]0=λλt

'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개론]감마분포  (1) 2020.12.03
[통계학개론]포아송분포  (0) 2020.12.03
[통계학개론] 이항분포  (0) 2020.12.03
[통계학개론]베르누이분포  (2) 2020.12.02
Mann-Whitney U test  (0) 2020.07.05
Posted by 화공쟁이
,

포아송분포 정의 - 이산형

일반적으로 매우 희귀하여 일어날 확률이 아주 작은 경우에 적용되는데, 확률변수 X가 세가지 조건(독립성, 비집락성, 비례성)을 만족할 때 성공의 평균 출현횟수를 m이라하면 확률함수는 다음과 같다.
P(X=x)=mxx!em
이때 E(X)=m, Var(X)=m이다.

적률생성함수

M(t)=E(etX)=x=0etxP(X)=x=0etxmxx!em=emx=0(met)xx!=em(exp(t)1)

'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개론]감마분포  (1) 2020.12.03
[통계학개론]지수분포  (0) 2020.12.03
[통계학개론] 이항분포  (0) 2020.12.03
[통계학개론]베르누이분포  (2) 2020.12.02
Mann-Whitney U test  (0) 2020.07.05
Posted by 화공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