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6비트 컴퓨터와의 만남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대신 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중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업을 받게 되었죠.
예전에 줏어들은 풍월은 있어가지고, 프로그램 입력은 천공카드로 해야 된다는 둥,
과제를 마치고 귀가하기 까지 줄서서 기다려야 한다는 둥 같은 과 친구들에게 아는체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실습실에 들어서는 순간, 제가 틀렸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책상위에는 keyboard와 monitor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었고 천공카드 입력기라든지, key punch operator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이미 시대는 많이 바뀌어 keyboard가 보편적인 입력장치로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죠.
"저 녀석 제대로 알고 있긴 한거야?" - 친구 1
"우리 아버지가 대학들어간 기념으로 AT 한대 사주시기로 했는데 쟤는 16비트
컴퓨터도 한번 만져 본적이 없다지?" - 친구 2
비록 PC사용경험에서는 서로 차이가 있지만, 학교의 중형 컴퓨터는 서로에게 모두
낯선지라 크게 문제될 건 없었습니다. 모두 다 처음부터 새로 배우는 입장이었죠.
"컴퓨터 실습을 하기전에 각자 ID와 password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 조교
당시 학교에 설치되어 있던 system은 DEC (Digital Equipment사)에서 생산된 VAX라는
system이었습니다. CPU및 저장공간을 개인별로 일정용량 할당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죠. 새로운 system이라고는 하지만 저에게는 예전에 8비트 컴퓨터를 사용하던 시절과 크게 다를 게 없었습니다. 그때도 keyboard와 monitor만 있는 환경이었으니까요. 차이가 있다면 사용하기전 ID 와 password를 정확히 입력해야 하는 과정이 추가되었다는 것 뿐...
실습시간 내내 학교 컴퓨터는 PC환경과 많이 달라 어렵다는 둥 군데군데 소근거림이
들리더군요. 아무튼 대학에서 컴퓨터와 재회하는 날 저의 사기행각(?)은 그렇게 끝이나고 있었습니다.
'나의 PC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 더 연장된 암흑기 - 재수 시절 (0) | 2018.02.09 |
---|---|
천공카드 (0) | 2018.02.09 |
Programming 언어와 첫만남 - BASIC (1) | 2018.02.09 |
Apple computer와 첫 만남 (1) | 2014.11.16 |